변명과 두려움 속에 숨어 있던 진짜 마음 발견하기
“난 창업 못 해.”
“아직 준비가 안 됐어.”
“자본도 없고, 아이디어도 없어.”
나는 그렇게 생각했다.
아니, 스스로 그렇게 믿고 싶었다.
그래서 오늘,
한 번 진지하게 **“내가 창업 못 하는 이유”**를 쭉 써보기로 했다.
처음엔
종이에 막 적기 시작했다.
✅ “내가 창업 못 하는 이유” 리스트
-
돈이 없다
-
아이디어가 없다
-
부모님이 반대한다
-
실패하면 어쩌지
-
창업은 똑똑한 사람이 하는 거다
-
경험이 없다
-
경쟁자가 너무 많다
-
마케팅을 몰라서
-
인맥이 없어서
-
나는 리더십이 부족해서
-
직장 다니느라 시간이 없다
-
체력이 없다
-
나이도 적당하지 않다
-
책임지기 무섭다
-
고객 컴플레인 못 견딜 것 같다
-
나보다 잘하는 사람이 많다
-
뭔가 하나라도 확실한 게 없다
-
… (계속 적었다)
종이를 한참 바라봤다.
그리고 깨달았다.
👉 “이거 다 ‘완벽해야만 할 것 같아서’ 만든 이유구나.”
나는 실패하고 싶지 않았고,
준비되지 않은 모습으로 시작하기 싫었다.
“준비 안 된 창업자는 망한다.”
이 말을 너무 많이 들었기에.
근데,
가만 보니 이유 중 단 하나도 ‘절대적 장애물’은 없었다.
✅ “이유”를 다시 읽어보니, 그냥 “두려움”이었다
예를 들어
“돈이 없다” → 무자본 창업 방법 검색하면 된다
“마케팅 몰라” → 하루에 10분 공부하면 된다
“시간 없다” → 출근 전 30분이면 된다
“아이디어 없다” → 고객 불편함 찾는 연습부터 하면 된다
‘없다’는 이유는 그냥
‘시작 안 해도 되는 핑계’였다는 걸 알았다.
웃겼다.
나는 내가 진짜 못하는 줄 알았는데
사실은 안 해도 되는 이유를 찾느라 바빴던 거다.
✅ “못 하는 이유”는 “하고 싶은 마음”의 반증이었다
리스트를 보니
어떤 공통점이 있었다.
“이걸 해결하면 창업할 수 있다”는 전제.
나는 이미
창업이 하고 싶었던 거다.
그게 아니라면 “못하는 이유”를 이렇게 진지하게 쓸 리가 없었다.
애초에
관심 없으면,
그냥 “안 해” 하고 끝이다.
근데 나는
“왜 못 하는지”
“어떤 준비가 부족한지”
“언제쯤 해야 할지”
계속 따지고 있었다.
👉 이건 이미 창업의 문 앞에 서 있는 사람이었다.
✅ 마무리 – 이유가 사라질 순 없다, 다만 이유를 안고 시작할 뿐
“완벽하게 준비되면 창업해야지.”
“이 이유들 다 사라지면 시작해야지.”
근데
그런 날은 안 온다.
완벽히 준비된 창업자는 없다.
이유가 없는 창업자는 없다.
결국 다 ‘이유를 안고’ 시작하는 거다.
“그래서 난 아직 못 해”가 아니라
“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작해볼까”로 바뀌어야 한다.
종이에 적힌 이유들을 다시 봤다.
그리고 이렇게 적었다.
“이유가 있어도 시작해본다.”
그 순간,
이상하게 가슴이 조금 설렜다.
그리고 오늘,
나는 ‘아직 아무것도 준비 안 된’ 창업 준비생으로
첫걸음을 내딛었다.
태그
#창업동기부여 #창업마인드셋 #실패두려움 #창업변명 #사고전환콘텐츠 #스타트업준비 #실행유도콘텐츠 #완벽주의극복 #창업공감 #자기인식 #창업심리 #창업이유